2015 대학생 정부 학자금 대출 실태 조사 및 문제점 진단
2015 대학생 정부 학자금 대출 실태 조사 및 문제점 진단
by 운영자 2015.04.24
“빛나기 위해 빚내는 청춘”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2015년 신년기획 이슈페이퍼 세 번째 ‘2015 대학생 정부 학자금 대출 실태 및 문제점 진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 학자금 대출 현황
일반대학 기준으로 장학금을 차감한 연간 실질 등록금 부담액이 평균 355만원인 가운데, 2014년 1학기 등록금 마련을 위해 정부 학자금 대출을 받은 학생은 전체의 11.9%, 평균 대출금액은 270만원으로 나타났다.
2012년 국가장학금의 도입 이후 학자금 대출 규모는 2011년 2조6,853억에서 2012년 2조3,265억으로 소폭 감소하는 듯했지만 2013~2014년 국가장학금이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정부 학자금 대출규모는 감소하지 않고 2014년 2조 4,000억원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 학자금 대출 상환액 및 상환 인원은 대출규모에 미치지 못해 전체 학자금 대출 누적금액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연구소가 한국장학재단에 정보공개 청구를 한 자료에 따르면, 졸업한 지 만 1년이 된 경우(2013년 졸업자 기준), 상환을 개시한 비율은 70.0%, 상환금액은 18.2%에 불과했다. 든든학자금의 경우, 연간 일정 기준 이상의 소득이 발생하면 의무상환이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대출자 10명 중 3명은 졸업 후 1년이 지나도 미취업 혹은 소득이 기준 이하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부 학자금 대출제도의 문제점
‘취업후학자금상환 특별법’에 따라 최고 7.8%에서 2.9%의 저금리 대출로 정부학자금 대출 전환이 가능해졌으나, 여전히 정부가 이자를 받는 것 자체에 대한 불만을 표하는 목소리가 높다.
은행의 기준금리는 1.75%까지 내렸고 물가상승률은 1.3%에서 0.5%까지 떨어졌지만, 정부 학자금 대출금리는 2013년 이후 3년째 2.9%로 동결 중이라, 과연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독일,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 학자금 대출 이자를 정부가 대신 부담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무이자 대출을 이용하고 있다는 사례로 비추어 볼 때, 정부 학자금 대출을 금융권 대출 상품과 같은 개념이 아닌 청년 세대를 위한 미래 투자로 바라보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특히, 박근혜 정권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학자금 대출 이자의 실질적 제로화”를 공약으로 내걸었음에도 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해 지적받았다.
직장인의 교육비나 주택자금 대출 상환액도 소득공제 대상이지만, 엄연한 교육비 명목인 정부 학자금 대출 상환금액은 연말 소득공제 항목에서 빠져있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초봉 2,187만원인 직장인이 학자금 대출금 2,988만원을 10년 동안 매년 397만원씩 상환할 경우, 이를 공제한다면 연간 10만원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추정했는데, 이 논의가 포함된 소득세법 개정안은 3년 째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대학생이 말하는 정부 학자금 대출 제도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정부 학자금 대출과 관련, 대학생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고자 2015년 3월 전국의 남녀 대학(원)생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2015년 1학기 등록금 대출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출 받지 못한 비중은 6.9%였다. 이는 전체 학자금 대출자 약 25만 명 중 약 1만7,000명에 해당하는 수치로, 이들은 한국장학재단에서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제2금융권이나 사금융권으로 밀려나고 있는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자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으로 제도 자체를 모르는 학생들이 대다수였다. 설문응답자 전체에서 14.7%만이 알고 있었으며, 등록금 대출을 받은 경우에도 인지도는 12.7%에 불과했다.
대출이용자의 45.6%가 정부 학자금 대출의 소득분위 산정기준 변경에 따라 부모님 모두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 꼽았다. 이어서 대출신청부터 대출실행까지 긴 심사시간(34.0%), 오후 5시에 마감되는 대출 가능 시간(32.0%), e-learning학습을 매 학기 이수 의무화(30.9%)해야 되는 점이 불만으로 지적됐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김영기 수석연구원은 “정부 학자금 대출은 금융 상품이 아닌 미래 세대에 대한 투자”임을 강조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이와 같은 인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무엇보다 선결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대학생이 부담 없이 정부 학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우선 대출 금리를 인하하고, 대출 자격조건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 대학내일20대연구소
서동일 기자 chunchonkcr@hanmail.net
정부 학자금 대출 현황
일반대학 기준으로 장학금을 차감한 연간 실질 등록금 부담액이 평균 355만원인 가운데, 2014년 1학기 등록금 마련을 위해 정부 학자금 대출을 받은 학생은 전체의 11.9%, 평균 대출금액은 270만원으로 나타났다.
2012년 국가장학금의 도입 이후 학자금 대출 규모는 2011년 2조6,853억에서 2012년 2조3,265억으로 소폭 감소하는 듯했지만 2013~2014년 국가장학금이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정부 학자금 대출규모는 감소하지 않고 2014년 2조 4,000억원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 학자금 대출 상환액 및 상환 인원은 대출규모에 미치지 못해 전체 학자금 대출 누적금액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연구소가 한국장학재단에 정보공개 청구를 한 자료에 따르면, 졸업한 지 만 1년이 된 경우(2013년 졸업자 기준), 상환을 개시한 비율은 70.0%, 상환금액은 18.2%에 불과했다. 든든학자금의 경우, 연간 일정 기준 이상의 소득이 발생하면 의무상환이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대출자 10명 중 3명은 졸업 후 1년이 지나도 미취업 혹은 소득이 기준 이하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부 학자금 대출제도의 문제점
‘취업후학자금상환 특별법’에 따라 최고 7.8%에서 2.9%의 저금리 대출로 정부학자금 대출 전환이 가능해졌으나, 여전히 정부가 이자를 받는 것 자체에 대한 불만을 표하는 목소리가 높다.
은행의 기준금리는 1.75%까지 내렸고 물가상승률은 1.3%에서 0.5%까지 떨어졌지만, 정부 학자금 대출금리는 2013년 이후 3년째 2.9%로 동결 중이라, 과연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독일,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 학자금 대출 이자를 정부가 대신 부담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무이자 대출을 이용하고 있다는 사례로 비추어 볼 때, 정부 학자금 대출을 금융권 대출 상품과 같은 개념이 아닌 청년 세대를 위한 미래 투자로 바라보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특히, 박근혜 정권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학자금 대출 이자의 실질적 제로화”를 공약으로 내걸었음에도 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해 지적받았다.
직장인의 교육비나 주택자금 대출 상환액도 소득공제 대상이지만, 엄연한 교육비 명목인 정부 학자금 대출 상환금액은 연말 소득공제 항목에서 빠져있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초봉 2,187만원인 직장인이 학자금 대출금 2,988만원을 10년 동안 매년 397만원씩 상환할 경우, 이를 공제한다면 연간 10만원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추정했는데, 이 논의가 포함된 소득세법 개정안은 3년 째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대학생이 말하는 정부 학자금 대출 제도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정부 학자금 대출과 관련, 대학생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고자 2015년 3월 전국의 남녀 대학(원)생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2015년 1학기 등록금 대출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출 받지 못한 비중은 6.9%였다. 이는 전체 학자금 대출자 약 25만 명 중 약 1만7,000명에 해당하는 수치로, 이들은 한국장학재단에서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제2금융권이나 사금융권으로 밀려나고 있는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자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으로 제도 자체를 모르는 학생들이 대다수였다. 설문응답자 전체에서 14.7%만이 알고 있었으며, 등록금 대출을 받은 경우에도 인지도는 12.7%에 불과했다.
대출이용자의 45.6%가 정부 학자금 대출의 소득분위 산정기준 변경에 따라 부모님 모두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 꼽았다. 이어서 대출신청부터 대출실행까지 긴 심사시간(34.0%), 오후 5시에 마감되는 대출 가능 시간(32.0%), e-learning학습을 매 학기 이수 의무화(30.9%)해야 되는 점이 불만으로 지적됐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김영기 수석연구원은 “정부 학자금 대출은 금융 상품이 아닌 미래 세대에 대한 투자”임을 강조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이와 같은 인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무엇보다 선결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대학생이 부담 없이 정부 학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우선 대출 금리를 인하하고, 대출 자격조건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 대학내일20대연구소
서동일 기자 chunchonkcr@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