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건강의료

건강의료 : 진료실 생각(그랜드연합의원)

환절기에 더욱 위험한 부정맥알고 대처하자!

환절기에 더욱 위험한 부정맥알고 대처하자!

by 운영자 2020.03.19

급성 심장사 중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것이 부정맥성 질환이다. 특히 기온 차이가 심하게 나는 계절은 급성관동맥증후군의 질환이 자주 발생한다. 그로 인한 부정맥성 질환도 흔치 않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주의해야 한다. 부정맥성질환에 대해 알아봤다.

정확한 진단으로 부정맥의 종류와 증상 파악해야

부정맥 질환의 가장 많은 증상은 가슴 두근거림 증상이다. 평상시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발생하는 두근거림 증상이 오래 지속될 경우 부정맥성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두근거림 증상 이외에도 가슴이 철렁대는 느낌 혹은 덜커덩대는 느낌이라고 표현하는 환자도 있다. 이와 같이 증상은 어느 한 가지로 통일될 수는 없고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특별하게 관심을 둬야 할 증상은 ‘의식소실’ 혹은 어지럼증을 동반한 두근거림 증상이다. 부정맥 진단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도 간편한 검사는 심전도검사다.
따라서 건강검진을 시행할 경우에는 비용이 비싸지도 않고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심전도를 검사 항목으로 추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심전도가 부정맥성 질환을 진단하는 데 중요하고도 기본적이긴 하지만 단점이 있다. 이 검사법은 숨어있거나 가끔씩 발현되는 부정맥은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검사법으로 일명 ‘홀터(Holter)’ 검사법이 있다. 이 검사법은 심전도가 10초 정도 심장의 리듬을 확인하는 것이라면 말 그대로 24시간 혹은 48시간 정도 연속해서 심장리듬을 확인해 볼 수 있어 숨어 있는 부정맥을 찾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일주일에 한두 차례 혹은 특별한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경우나 기껏해야 1년에 서너 차례미만의 빈도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진단이 어려워 ‘전기생리학 검사법’을 쓴다. 입원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제일 정확하고 확실하게 부정맥을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약물요법·고주파전극도자 절제술 등 치료

부정맥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하고 음주를 절제하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상이 있다고 바로 항부정맥 약제를 처방 받는 것을 권하지는 않는다.

이유는 항부정맥 약제가 ‘양날의 칼’과 같은 면이 있어 하나의 부정맥 치료를 위한 항부정맥 약제의 복용이 종류가 다른 부정맥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근거림이나 덜컹거리는 증상이 심해 일상이나 업무를 보는 데 지장을 줄 정도라면 또한 부정맥의 증상이 있으면서 실신의 병력이 있거나 급사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악성 부정맥(심장마비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는 부정맥)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부정맥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증상이 없고 부정맥의 발현 빈도가 낮으며 급사의 가능성을 초래할 위험성이 거의 없는 심실조기 수축 부정맥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만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심실조기 수축이라도 발생 빈도가 높고 증상을 심하게 유발하는 경우 정상맥과 심실조기 수축 간 간격이 짧아 악성 부정맥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치료가 필요하다. 일단항부정맥 약물 치료가 먼저고 약제 치료에 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부정맥의 발생 빈도가 너무 높아 장기적으로 심실의 수축 기능을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고주파전극도자 절제술’이라는 중재시술적 치료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돌연사의 원인 중 하나로 악성 부정맥인 심실빈맥과 심실세동(규칙적인 심방실 간의 조율이 되지 않아 급사를 유발하는 빠른 맥)의 치료는 약제 치료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술로 급성 심장사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맥형 부정맥인 경우 안정 시나 운동 시 심박동 수가 분당 40회 미만이 돼 뇌쪽으로 공급되는 혈액량이 부족해 주로 어지럼증 혹은 실신의 증상으로 발현된다.

이런 경우 약물치료는 없고 환자 대흉근막 밑 부분에 시술하는 영구형 인공심박동기 치료를 시행한다. 선천적이며 유전적인 부정맥이 발생하는 자체를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기존에 진단받은 부정맥의 잦은 재발을 막기 위해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절주 혹은 금주, 기름에 튀긴 음식 및 고칼로리 음식들 줄이기, 다량의 카페인(커피·홍차·녹차 등) 섭취 제한, 충분한 수면 및 휴식과 적절한 운동 등이 있다.

이기영 기자 mod1600@hanmail.net